구글과 애플 갑질이 도를 넘었다!
구글이 게임뿐 아니라 콘텐츠 앱에도 일률적으로 30% 결제 수수료를 받는 '인앱 결제'를 확대하려는 움직임이 보이자 국내 기업들이 크게 반발하고 있습니다.
구글의 정책이 반영된다면 웨이브, 티빙, 왓챠 등 실시간 동영상(OTT) 앱이나 멜론 같은 음악 서비스 등이 모두 해당됩니다.
'인앱결제'란 구글과 애플 등 앱마켓에 등록된 모바일앱을 다운 받은 뒤 게임 아이템 등을 구매할 때, 무조건 앱마켓 시스템을 통해서 결제하도록 하는 방식을 말합니다.
이때 애플과 구글이 떼 가는 수수료가 30%에 달해 글로벌 플랫폼 기업의 전형적인 갑질이란 비판이 제기됐습니다.
애플은 한 발 더 나아갑니다. 글로벌 시장에서 에픽게임즈와 공방을 벌이는 것처럼, 앱스토어 수수료 문제에 있어 콘텐츠 이용자들 쥐어짜기가 매우 능숙합니다. 이 분야에서는 구글의 선배로 볼 수 있습니다.
토종 앱마켓 '원스토어' 구글, 애플 갑질의 해결책으로 부상!
이러한 갑질 논란에 국산 토종 앱마켓인 '원스토어'가 대안으로 부상하고 있습니다.
이동통신 3사와 네이버가 만든 '원스토어'는 최근 결제수수료 및 계약 관련 문의가 쇄도하고 있습니다.
구글과 애플의 결제수수료 및 인앱결제 강제 논란으로 대안을 찾는 기업이 늘어난 것입니다.
원스토어의 결제수수료는 20%입니다.
구글플레이스토어와 애플 앱스토어의 30%보다 저렴합니다.
구글과 애플은 등록된 앱이 100만 원을 벌면 그중 30만 원을 가져가는 것이고, 원스토어는 20만 원만 받는 것입니다.
그리고 외부 결제도 허용하고 있습니다. 지난 2018년부터 카카오페이, 토스 등 외부 결제 수수료 5%로 인하하는 정책을 시행했습니다.
원스토어의 강점 개발자도, 이용자도 활짝
원스토어의 장점은 이뿐만이 아닙니다. 개발자와의 상생에도 나서고 있습니다.
인디게임을 소개하는 '인디게임존'을 만들고, 소규모 개발자들에게 베타테스트의 기회를 제공하는 '베타게임존'등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게임 외에도 웹툰, 만화, 판타지 소설 등을 무제한으로 이용할 수 있는 월 정액 구독 서비스인 '북패스'를 지난 6월 선보였습니다.
이용자에게도 통신 3사 멤버십 할인 적용, 캐시백 이벤트 등으로 30~50% 결제금액을 돌려주는 이벤트를 열고 있습니다. 향후 해외 사업자들과의 연대 및 제휴를 통한 글로벌 진출도 나설 계획입니다.
앱마켓, 앞으로 어떤 형태로 변화할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