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운전면허증이 네이버 앱과 카카오톡으로 쏘옥!모바일신분증 시대!

네이버 앱과 카카오톡, 모바일신분증이 쏘옥! 운전면허증 필요 없다!

올해 안에 스마트폰 앱만 있으면 신분을 확인할 수 있을 전망입니다.

전 국민이 사용하는 네이버와 카카오톡에 넣는 방식입니다.

카카오톡과 네이버앱에서 연내 서비스될 모바일신분증 (운전면허증) 예시 / 출처: 머니투데이

3일 네이버, 카카오톡은 '모바일 운전면허증 확인 서비스'가 과학 기술 정보통신부 ICT 규제 샌드박스 임시허가를 획득했다고 밝혔습니다.

이 서비스는 카카오톡과 네이버앱에 운전면허증 정보를 저장해 스마트폰에 소지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카카오톡과 네이버앱이 실물 운전면허증을 한차례만 등록해 주면 신원확인이나 면허 증명 등 필요한 상황에서 언제든지 꺼내 쓸 수 있습니다.

이는 이동통신 3사가 지난 6월 서비스를 개시한 '패스 모바일 운전면허증 확인 서비스'와 유사한 서비스입니다.

네이버, 카카오톡 모바일신분증 어떤 차이가 있을까?

이번 모바일신분증 서비스에서 카카오톡과 네이버앱은 약간 다른 방식으로 서비스됩니다.

먼저 네이버는 이번 임시 허가 획득을 계기로 '네이버 인증서'에서 '모바일 운전면허증 확인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라고 합니다. 인증서 접속 사정에는 네이버의 로그인 보안 기술, PKI 방식의 암호화 기술, 위·변조 및 복제를 방지하는 블록체인 기술 등을 적용한다고 합니다.

카카오도 올해 안에 카카오톡에서 모바일 운전면허 서비스를 구현할 예정입니다.

본인확인 과정을 거치고 전자서명을 위한 인증서를 생성한 뒤 면허증을 등록해 이용할 수 있습니다.

카카오뱅크의 신원확인 기술을 활용하며, 해당 정보는 전자서명과 함께 암호화폐 카카오톡에 등록하는 한편 블록체인에도 기록합니다.

발급된 모바일신분증을 제시할 때는 전자서명을 통해 동일인 여부를 확인한다고 합니다.

아울러 카카오는 운전 외에도 산업인력공단의 국가 기술 전문자격증 등 다양한 신분증과 자격증을 카카오톡에 담을 예정이라고 합니다.

모바일신분증, 가입자 100만 명 돌파하고 통신 가입까지 가능

네이버 카카오톡이 시작하기 전, 먼저 이 서비스를 시작했던 이동통신 3사의 '패스'가 총 가입자 수 100만 명을 돌파했습니다. 이미 많은 사람들이 이 앱을 이용해서 본인 명의의 운전 면허를 등록해 이용하고 갱신이나 재발급 시에도 활용하고 있습니다. 그뿐만 아니라 편의점에서 실물 신분증을 대체하여 사용하기도 합니다.

또, 범위를 넓혀 kt는 통신 서비스 가입 시 필요했던 신분증 스캔 절차를 없애고 앱으로 대체할 수 있게 정책을 바꿨습니다.

모바일신분증은 정부 주도의 혁신사업도 진행 중입니다.

행정안전부와 인사혁신처는 정부청사 출입이나 세종시 지역 서비스를 비롯해 온라인 업무처리 시 활용할 수 있는 '모바일 공무원증'을 연내 출시할 예정이라고 합니다.

이같이 이러한 기술은 전 세계적으로 우리나라가 선도적인 위치에 있습니다.

앞으로 어떤 모습으로 바뀔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