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포스트코로나 시대, 소상공인에게 위기이자 기회!

포스트코로나 시대, 시대가 완전히 바뀌다.

 

포스트코로나 시대가 된 후, 우리의 생활 소피 패턴부터 사회 경제 전반에 걸쳐 변화를 요구하고 있습니다.

변화의 핵심은 비대면, 비접촉 분야의 서비스 혁신입니다.

 

온라인(모바일) 쇼핑의 확산, 빅데이터, 사물인터넷, 인공지능(AI) 등 4차산업혁명 기술을 기업 경영 및 혁신에 접목하는 사례들도 국내외에 속속 등장하고 있습니다.

 

2020년 7월 온라인쇼핑 거래액 동향/ 출처 : 통계청

 

코로나19로 인한 오프라인 시장의 어려움에도 올해 7월 온라인 쇼핑 거래액은 13조에 육박하고 있으며 그중 모바일 판매는 8조 7000억 원으로 동월 대비 21.2%나 증가했습니다.

 

이제 휴대폰 하나로 공산품은 물론이고 산지의 신선 먹거리를 구매하고 당일 배송까지 받을 수 있습니다.

 

디지털화 유통시장에서 또 다른 경쟁을 유발할 것

키오스크를 사용하고 있는 사람들 / 출처: 뉴시스

 

대형 매장뿐만 아니라 일반 매장에서도 키오스크 주문대, QR코드를 활용한 스마트 오더, 로봇 바리스타, 무인 상점까지 다양한 방식 스마트 상점을 접할 수 있습니다.

고객이 자리에 앉아 테이블에 있는 QR코드를 휴대폰으로 스캔하면 메뉴가 나오고 원하는 주문을 넣으면 주방으로 전달되고, 주방에서 로봇이 조리 및 서빙해주는 시대도 멀지 않았습니다.

 

이러한 IT 기술을 활용한 스마트화는 온라인과 함께 유통시장에서 또 다른 경쟁을 유발할 것입니다.

 

그러나 온라인 판매의 비약적인 성장은 자본력을 갖춘 대기업 및 중견기업이 주도하고 있고, 스마트화도 대형 프랜차이즈 등이 선도하고 있습니다.

개별 소상공인들이 이러한 변화에 대응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습니다.

홀로 경영하는 소상공인이 절반이 넘고 고령화에다 정보도 부족하고 스마트기술을 적용하는 데에는 자본에도 한계가 있다는 것이 현실입니다.

 

포스트코로나 시대, 오히려 소상공인에게 위기이자 기회!

 

4차산업혁명과 포스트코로나 시대로 변한 사태로 인해 촉발된 비대면 경제로의 전환은 소상공인에게 위기이자 기회입니다.

 

올해부터 민간 온라인 쇼핑몰 및 O2O 플랫폼 입점, 라이브커머스 활성화 등 소상공인의 온라인 진출을 촉진하고 스마트 상점과 지점, 스마트 상점 모델숍 운영 및 소공인 스마트 공장 도입, 전통시장 온라인화 등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특히 2021년 정부 예산에서도 디지털화, 스마트화를 위한 예산을 금년보다 17.3% 증가한 2.2조 원으로 편성해 소상공인 디지털 전환을 본격화할 계획입니다.

그렇다고 일자리 창출과 내수 극복의 핵심 주제인 오프라인 상권에 중요성이 낮아지거나 자원이 줄어든 것은 아닙니다.

 

이에 소상공인들은 정부의 디지털 전환 정책을 적극 활용할 필요가 있습니다.

그리고 4차산업혁명과 포스트코로나 시대가 촉발한 변화의 물결에 적극 대응해 위기를 기회로 바꾸는 지혜를 발휘하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입니다.

 

기사 원문 :http://www.cc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2092922

 

[경제인칼럼] 포스트코로나 시대, 소상공인 디지털화 기회로 - 충청투데이

코로나19(이하 코로나)은 우리의 생활·소비패턴부터 사회경제전반에 걸쳐 변화를 요구하고 있다. 변화의 핵심은 비대면·비접촉분야의 서비스혁신이다.온라인(모바일) 쇼핑의 확산, 빅데이터·�

www.cctoday.co.kr

 

디지털화는 스마트메이커로

 

스마트메이커는 컴맹인 사람도 누구나 쉽게 앱을 만들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쉽게 디지털화할 수 있는 최적의 도구입니다.

 

포스트코로나시대, 어떻게 해야 할지 고민이라면? 스마트메이커로 디지털화에 도전해보세요!